티스토리 뷰
수영강습 시간강사의 퇴직급 지급대상 여부
MerCSsm 2023. 1. 14. 14:10수영강습 시간강사의 퇴직급 지급대상 여부
고용노동부의 회시로 살펴보는 관련 사례들입니다. 늘 말씀드리지만 상황에 따라 다르게 판단되오니 이점 유의하여 참고하고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질의>
수영 강습 시간강사의 퇴직금 지급 대상 여부
<회시>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제4조에 따라 4주간 평균하여 1주간의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이고, 계속 근로 기간 1년 이상인 근로자는 퇴직급여를 지급받을 수 있으며, 같은 법 제8조에 따라 사용자는 계속 근로 기간 1년에 대하여 30일분 이상의 평균임금을 퇴직금으로 지급하여야 합니다.
→ 이와 관련하여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라 함은 계약의 형식에 관계없이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임금을 목적으로 종속적인 관계에서 근로를 제공하는 자를 말하여, 이때 종속족인 관계가 있는지에 관하여는
①업무 내용이 사용자에 의해 정하여지는지 여부,
②취업규칙·복무규정·인사규정 등의 적용을 받으며 업무 수행 과정에서 사용자로부터 상당한 지휘·감독을 받는지 여부,
③사용자에 의해 근무시간과 근무장소가 지정되고 이에 구속을 받는지 여부 등
당사자 사이의 관계 전반에 나타나는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개별적·구체적으로 판단하여야 할 것입니다.
→ 귀 질의 내용만으로는 사실관계를 알 수 없어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우나, 수영 시간강사 강의 계약서 등 질의 내용만으로 '수영 강습 시간강사'의 근로자성 여부에 대하여 살펴보면, 사업 소득세를 원천징수하는 점, 개인 사정으로 결강 시간강사가 직접 제2자를 대체 강습케 하는 점 등 일부 근로자성이 부인될 요소도 있으나,
①소정근로시간에 대해 고정급을 지급받고 있는 점,
②사용자에 의해 강습시간 및 교육(강습) 프로그램이 정해지고 이에 구속을 받고 있는 점,
③공단 측 관리자의 업무상 지시를 이행할 의무가 있는 점,
④개인 사정으로 인한 결상 시 강사가 직접 제3자에게 대체 강습케하는 것을 자신의 계산으로 사업을 영위한다고 보기 힘든 점,
⑤수영장 운영기준을 준수하여야 하고, 계약 내용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에 대하여는 공단의 제 규정을 준용하는 점
등을 종합 고려할 때, 달리 볼 사정이 없는 한 귀 질의의 '수영 강습 시간강사'는 종속적인 관계에서 임금을 목적으로 근로를 제공하는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로 볼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4주간 평균하여 1주간의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이고 계속 근로 기간 1년 이상인 근로자가 퇴직할 경우 퇴직금을 지급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근로복지과-883, 2014.03.11.)
출처 : 고용노동부 자료(https://www.moel.go.kr)
퇴직금 관련 정보 요약 (이 정도는 알아야합니다..)
기타 추가 사례는 여기에서!
'직장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개채용절차 없이 재계약을 체결한 근로자의 퇴직급여 지급 여부 (0) | 2023.01.14 |
---|---|
일용직 근로자의 퇴직금 산정 관련 (0) | 2023.01.14 |
명예직 상담관이 퇴직금 지급대상인지 여부 (0) | 2023.01.14 |
산후 가사도우미의 근로자성 인정 여부 (0) | 2023.01.14 |
인도적 체류자 퇴직금 산정을 위한 계속 근로 기간 관련 (0) | 2023.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