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위·수탁업체 변경에 따른 퇴직금 지급 관련
MerCSsm 2022. 12. 31. 16:03위·수탁업체 변경에 따른 퇴직금 지급 관련
고용노동부의 회시로 살펴보는 관련 사례들입니다. 늘 말씀드리지만 상황에 따라 다르게 판단되오니 이점 유의하여 참고하고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질의 1>
○○시는 민간업체에 위탁계약을 통해 운영해 오던 사업을 위탁계약 해지 후 △△공사가 위탁받아 운영할 예정임. 이때, 퇴직금 지급의무가 있는 민간업체와는 별도의 동의 절차를 거치지 않고, ○○시, △△공사와 근로자 간에 민간업체
소속으로 근무한 기간 중 발생한 퇴직금을 △△공사가 지급키로 합의하여 △△공사가 퇴직금을 대신 지급할 수 있는지
* ○○시는 임금, 퇴직금, 각종수당 등 인건비를 용역대금에 포함하지 않고 시 예산으로 구분하여 관리해왔고, △△공사에 사업을 위탁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운영할 예정
<질의2>
근로계약서에서 퇴직금을 기본급의 12분의 1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정하는 경우 <근로자 퇴직급여 보장법> (이하 ʻʻ<근퇴법>ʼʼ) 위반 여부
<회시1>
○○시가 민간업체와 위・수탁계약을 체결하여 운영해오던 사업의 위・수탁 기간이 종료된 후에 △△공사와 위・수탁계약을 체결하여 사업을 위탁운영하는 경우, 두 수탁업체 간에 고용승계에 관한 별도의 약정이 없는 한 △△공사는 종전에 민간업체 소속으로 근무했던 근로자를 고용승계하여 퇴직금을 지급할 의무는 없습니다.
→ 따라서 민간업체와 △△공사 간 고용승계에 관한 별도의 약정이 없는 상황에서 민간업체 소속으로 근무해왔던 근로자가 퇴직한 후 △△공사에 입사하는 경우에 원칙적으로 민간업체에서 근로했던 기간에 대한 퇴직금 지급의무는 민간업체에 있습니다.
→ 한편, <민법>상 이해관계가 없는 자는 채무자의 의사에 반하여 채무를 인수할 수 없으며(<민법> 제453조제2항), 채무자의 의사에 반하여 변제하더라도 그 효력이 없으므로(<민법> 제469조제2항)
- 민간업체와 이해관계가 없는 △△공사가 일방적으로 민간업체의 퇴직금 채무를 인수할 수는 없으며 설령, △△공사가 근로자들에게 퇴직금 명목으로 지급하더라도 민간업체의 퇴직금 채무를 소멸시키는 효력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 따라서 △△공사가 민간업체에서 퇴직한 근로자의 퇴직금 채무를 인수하고자 한다면 퇴직금 지급의무가 있는 민간업체의 동의를 받는 것이 적절하다고 사료됩니다.
(근로복지과-3842, 2012.11.09.)
<회시2>
<근퇴법> 제8조제1항에 따라 사용자는 계속근로기간이 1년 이상인 근로자가 퇴직하는 경우에 계속 근로 기간 1년에 대하여 30일분 이상의 평균임금을 퇴직금으로 지급하여야 합니다.
→ 이때, 퇴직금 산정에 포함되는 임금은 기본급 외에도 실적장려수당 등 근로에 대한 대가로 지급받는 일체의 금품이 해당되므로 귀 질의의 경우와 같이 근로계약서에 퇴직금을 기본급의 12분의1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정하는 경우에는 <근퇴법>제8조제1항 소정의 퇴직금액에 미달하게 되어 퇴직금 차액을 지급할 의무를 지게 됩니다.
(근로복지과-4088, 2012.11.27.)
출처 : 고용노동부 (https://www.moel.go.kr)
기타 참고할 만한 글
'직장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업방식을 직영에서 민간위탁으로 변경 시 계속 근로 기간 산정 방법 (1) | 2023.01.02 |
---|---|
용역업체 위・수탁 계약 변경 시 퇴직급여 수급 여부 (0) | 2023.01.01 |
위탁 기관 변경 시 고용 승계 및 퇴직금 발생 여부 (0) | 2022.12.31 |
소속 업체 변경 시 환경미화원의 퇴직금 지급 여부 (0) | 2022.12.30 |
아파트 관리 방식 변경(직영→위탁)에 따른 1년 미만 근로자의 퇴직금 지급 여부 (0) | 2022.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