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25년 퇴직금 계산 시 식대·교통비 포함될까? (통상임금 vs 평균임금 총정리)
MerCSsm 2022. 9. 19. 15:012025년 기준 퇴직금 계산 시 식대·교통비·통신비가 포함되는지 정확하게 정리했습니다. 통상임금과 평균임금의 차이, 실제 사례, 표로 쉽게 이해하세요.

퇴직할 때 가장 많이 물어보는 질문 중 하나가 바로 ‘식대, 교통비, 통신비가 퇴직금에 포함되는지’입니다. 실제로 매달 받던 수당인데 퇴직금에는 빠진다고 하면 억울한 기분이 들 수 있죠.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퇴직금 계산 시 포함되는 항목과 기준이 되는 임금에 대해 쉽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퇴직금 계산 시 기준이 되는 두 가지 임금
퇴직금 계산 시 가장 중요한 것은 ‘어떤 임금을 기준으로 계산하느냐’입니다. 보통 다음 두 가지 중 하나를 기준으로 삼습니다.
- 통상임금 : 고정적·정기적·일률적으로 지급되는 임금 (예: 기본급, 고정식대)
- 평균임금 : 퇴직 전 3개월간 받은 총임금을 일수로 나눈 값
퇴직금은 원칙적으로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계산하므로, 고정 수당이 아니더라도 실제로 받은 금액이 있다면 평균임금에는 포함될 수 있습니다. 평균임금에 해당하는 수당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싶으신 분들은 [지난 글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이것도 모르면 절대로 퇴사 하지 말아라(2)(통상임금 VS 평균임금에 따른 퇴직금 변화)
퇴직금은 통상임금? 평균임금? 보통 퇴직금은 평균임금으로 계산한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과연 그럴까요? 이번에는 퇴직금에는 평균임금을 적용하는지 통상임금을 적용하는
mcs84.tistory.com
식대·교통비·통신비는 퇴직금에 포함될까?
항목 | 통상임금 포함 | 평균임금 포함 | 설명 |
식대 | 경우에 따라 포함 | 포함됨 | 정기 지급 시 포함 가능 |
교통비 | 보통 제외 | 경우에 따라 포함 | 정기적 지급일 경우 포함 가능 |
통신비 | 보통 제외 | 경우에 따라 포함 | 월정액 지급 시 포함 가능성 있음 |
이처럼 통상임금에는 포함되지 않더라도, 평균임금에는 실제 지급 여부에 따라 포함되는 항목이 많습니다.
실제 사례로 살펴보기
- A씨는 월급 250만원 외에 식대 10만원, 교통비 10만원을 정기적으로 받았습니다.
- 퇴직 직전 3개월 동안 총 810만원을 수령했다면,
→ 평균임금 = 810만원 ÷ 90일 = 9만원
→ 퇴직금 = 9만원 × 근속연수(년) × 30일 ÷ 365
※ 위 계산은 예시이며, 실제 퇴직금 산정은 퇴직일 기준 및 근속연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식대를 현금이 아닌 카드로 결제해도 포함되나요?
정기적으로 지급되고 급여명세서에 명시되었다면 포함될 수 있습니다.
Q2. 교통비가 실비 정산이면 어떻게 되나요?
영수증 제출 기반의 실비 정산은 임금이 아닌 비용처리로 간주되어 평균임금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Q3. 수당이 매달 다르게 들어오면 포함되나요?
통상임금에는 제외될 수 있지만, 평균임금은 ‘실제 지급’이 기준이라 포함될 수 있습니다.
Q4. 퇴직금을 적게 받은 것 같으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고용노동부 1350 상담센터에 문의하거나, 관할 노동청에 민원 신청할 수 있습니다.
법령 정보 요약
- 근로기준법 제2조 및 제43조~제55조에 따르면 평균임금은 퇴직 등 사유 발생 시 산정 기준이 됩니다.
- 퇴직 전 3개월간 총임금을 기준으로 하며, 식대·교통비·통신비는 실제 지급 여부가 판단 기준입니다.
- 판례상 ‘실제 지급된 수당’은 평균임금에 포함되는 방향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마무리 정리
- 식대, 교통비, 통신비는 통상임금에는 보통 포함되지 않지만, 평균임금에는 지급 실적 여부에 따라 포함될 수 있습니다.
- 퇴직금 계산 시 가장 중요한 것은 급여 내역에 명확히 반영되었는가입니다.
- 불분명하거나 애매한 경우에는 고용노동부 공식 상담을 활용하세요.
기타 참고할 만한 글
퇴직금 관련 정보 요약 정리 (이 정도는 알아야 제대로 받는다!!)
퇴직금 관련 정보를 찾아보면 너무 여러 가지 내용들이 다양하게 있어서 오히려 헷갈리게 되는 것 같기도 합니다. 그래서 필요한 정보만 논리적인 순서대로 읽게 되면 이해가 잘되지 않을까 싶
mcs84.tistory.com
회사가... 수당을? <수당별 임금기준(통상임금VS평균임금) >
2021년부터 근로기준법이 개정되면서 반드시 근로자에게 임금명세서를 지급하여야만 합니다. 그러나 명세서 상의 내용이 맞더라도 적용해야 하는 기준 자체(통상임금 VS 평균임금)가 틀렸다면
mcs84.tistory.com
'직장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 보면 손해인 퇴직금 중간정산(중도 인출) 정리! (1) | 2022.10.18 |
---|---|
이제는 우리가 헤어져야 할 시간 <퇴직금 끝내기 (퇴직금, DB형, DC형, IRP) > (0) | 2022.10.04 |
회사가... 수당을? <수당별 임금기준(통상임금VS평균임금) > (0) | 2022.09.14 |
의외로 많은 이가 모르는 IRP 개념 정리(IRP란?) (0) | 2022.09.07 |
당신만 모르는 팩스기 없이 팩스 보내기 (ft... 심지어 공짜) (2) | 2022.09.05 |